도기숙 교수
-
도기숙 교수는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대학에 재직중이며 문학치료, 젠더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독일 레겐스부르크 (Regensburg Univ.) 대학에서 독문학, 교육학을 석사로 마쳤고 독일 베를린의 훔볼트 대학교 (Humboldt Univ.)에서 독문학, 젠더학으로 박사학위(Ph. D.) 를 받았다. 박사학위 이후 그는 통합예술치료에서 세계적인 권위와 역사를 자랑하는 독일의 프리츠 페를스 연구소 (Fritz Perls Institut)에서 문학치료사 자격증 (bibliotherapy Certificate)을 취득하였다.
광운대 인제니움학부대학 학장, 학생상담실장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 독어독문학회 편집이사, 한독 통일 자문위원회 전문가그룹 위원, 창동성문화 센터 자문위원 등 다양하게 사회적으로 활동하였다.
문학치료 관련 주요 논문으로는「성폭력과 문학치료: <빨간모자 울음을 터뜨리다>를 중심으로」(2015),「성(性)중독증: 슈니츨러의 <카사노바의 귀향>을 중심으로」(2016),「자살생각의 이해와 극복: 케르틴 기어의 <그 여자의 자살편지>를 중심으로」(2019),「도박중독의 병리적 증세와 문제: 아르투어 슈리츨러의 <마지막 도박>을 중심으로」(2019),「상호주관적 체험의 매체로서의 몸, 그리고 치유 가능성: 니체와 페촐트의 몸담론을 중심으로」(2020),「이혼 후 방임된 아이의 정서적 문제: 조에 예니의 <꽃가루방>을 중심으로」(2023),「알코올 중독자와 동반의존자: 브레히트의 <주인 푼틸라와 하인 마티>를 중심으로」(2023) 등이 있다.
광운대 인제니움학부대학 학장, 학생상담실장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 독어독문학회 편집이사, 한독 통일 자문위원회 전문가그룹 위원, 창동성문화 센터 자문위원 등 다양하게 사회적으로 활동하였다.
문학치료 관련 주요 논문으로는「성폭력과 문학치료: <빨간모자 울음을 터뜨리다>를 중심으로」(2015),「성(性)중독증: 슈니츨러의 <카사노바의 귀향>을 중심으로」(2016),「자살생각의 이해와 극복: 케르틴 기어의 <그 여자의 자살편지>를 중심으로」(2019),「도박중독의 병리적 증세와 문제: 아르투어 슈리츨러의 <마지막 도박>을 중심으로」(2019),「상호주관적 체험의 매체로서의 몸, 그리고 치유 가능성: 니체와 페촐트의 몸담론을 중심으로」(2020),「이혼 후 방임된 아이의 정서적 문제: 조에 예니의 <꽃가루방>을 중심으로」(2023),「알코올 중독자와 동반의존자: 브레히트의 <주인 푼틸라와 하인 마티>를 중심으로」(2023) 등이 있다.